반응형 한국 여행44 57 (서울 종로) 조계사 조계사는 한국 조계종의 총본산으로 서울 종로구 수송동 44번지에 위치하며, 1호선 종각역 2번출구로 나와서 480m 도보 8분 거리에 있어서 서울 시민들과 외국인 관광객이 쉽게 방문할 수 있는 사찰이다. 조계사는 1910년 일제 시대 경복궁 근처 불교 사찰을 정리하면서 현 위치에 각황사란 이름으로 새로 세워 졌으나, 1937년 중국 선종의 시조인 혜능 대사의 도량 이름인 조계산에서 본 뜬 조계사로 명칭을 변경한 것이다. 조계사에는 그 입구에 일주문 및 정문에서 바로 보이는 범종루, 석가모니 생애를 그림으로 표현한 팔상전과 석가모니불을 모신 중심 법당인 대웅전 등이 있다. 조계사는 매년 음력 4월 8일 석가탄신일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부처님 오신 날 맞이 연등 축제로 유명하.. 2025. 6. 12. 56 (단양) 소백산 기슭에 자리한 구인사 구인사는 충북 단양군 영춘면 백자리 132-1번지에 위치하며 소백산 기슭에 자리한 천태종의 총본산으로 상시 개방되어 있고 입장료는 무료이나 주차시 승용차 3,000원, 경차 1,500원의 요금을 받는다. 소백산 연화봉에서 비로봉으로 가는 능선은 이맘때 철쭉이 꽃망울을 활짝 터트리면서 연분홍 물결을 이루기에 등산객이 자주 찾는 코스인데, 해발 1천 미터가 넘는 그 연화봉의 장엄한 자연풍광과 잘 어우러진 구인사는 방문객의 마음을 단숨에 사로잡는다. 주차장에 있는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해 구인사 대법당까지 들어가려면 상당히 깊숙히 들어가야 한다. 계속 걷다 보면 국내 최대 규모의 5층 대법당인 설법보전이 나오는데 현대적인 공법과 전통 양식이 어우러져 장엄함을 더한다. 구인사는 삼간초.. 2025. 6. 7. 54 (공주) 태화산 마곡사 / 송산리 고분군 무령왕릉 마곡사는 백제 무왕때 신라 고승인 자장율사 또는 통일신라때 당나라에서 돌아온 무염이 공주시 태화산 동쪽 산허리에 창건한 이후 고려시대 보조국사 지눌이 중창한 천년 사찰이다. 마곡사가 임진왜란때 전각의 대부분이 소실되었다가 조선 효종때 대광보전과 영산전, 대적광전 등을 중수하였는데, 구한말 백범 김구가 명성황후 시해에 가담한 일본 장교를 죽이고 은거하며 잠시 출가 수도하였던 곳으로 김구가 심었다는 향나무가 있다. 마곡사를 둘러 본 후 그 마곡사를 감싸 안은 태화산 자락에 있는 적송 숲길인 마곡사 천연 송림욕장을 걸으면 몸과 마음이 맑아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기에 추천한다. 공주에 온 김에 마곡사에서 24km 떨어져 차로 30여분 거리에 있는 무령왕릉까지 구경하러 왔다. 무령왕은 백제 .. 2025. 6. 1. 53 (공주) 계룡산 동학사 동학사는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789번지에 소재한 사찰로 계룡산 국립공원 내에 위치하며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비구니 승가 대학으로 150여 명의 비구니 스님들이 수행하는 교육도량이다. 동학사 길을 따라 올라가다 마치막 주차장이라는 푯말이 보이는 주차장에서 하루요금 4000원을 내고 차를 댄 후 계곡 물소리를 들으며 가볍게 산책하며 1.2km 정도 산길을 걷다 보면 동학사 불교문화원이 나오고 거기서 좀더 가면 대웅전 입구가 나와요~ 계룡산 동쪽 자락에 위치한 동학사는 신라 성덕왕 때 회의 화상이 청량사로 창건한 후 고려 태조 도선 국사가 중창한 천년 고찰로 계룡산 서쪽 자락의 갑사와 함께 계룡산을 대표한다. 동학사 내에 있는 삼은각은 고려 유신 길재, 이색, 정몽주를 제향하고.. 2025. 5. 31. 이전 1 2 3 4 5 6 ··· 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