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웅전4

58 (서울 강남) 봉은사 미륵대불 봉은사는 서울 강남구 삼성동 74번지에 위치한 조계종 소속의 유서 깊은 사찰로 고층 빌딩이 밀집한 서울의 강남 도심에 있어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며 외국인 관광객들도 많이 방문한다. 봉은사는 794년 신라 원성왕때 연회국사가 견성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으나 고려와 조선을 거치며 중수 및 중건이 계속되었다. 조선 세조때 크게 중창된 이후로 중종때 보우대사가 주지로 부임해 중흥을 이끌며 임금의 은혜를 받는다는 의미의 봉은사로 불리게 되었다. 봉은사의 특징은 야외에 높이 23미터의 거대한 미륵불이 세워져 있어 봉은사를 상징하며, 그외에 대웅전(석가모니불/아미타불/약사여래 삼존불), 미륵전, 영산전 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도와 참선이 가능한 선원과 법왕루, .. 2025. 6. 14.
57 (서울 종로) 조계사 조계사는 한국 조계종의 총본산으로 서울 종로구 수송동 44번지에 위치하며, 1호선 종각역 2번출구로 나와서 480m 도보 8분 거리에 있어서 서울 시민들과 외국인 관광객이 쉽게 방문할 수 있는 사찰이다. 조계사는 1910년 일제 시대 경복궁 근처 불교 사찰을 정리하면서 현 위치에 각황사란 이름으로 새로 세워 졌으나, 1937년 중국 선종의 시조인 혜능 대사의 도량 이름인 조계산에서 본 뜬 조계사로 명칭을 변경한 것이다. 조계사에는 그 입구에 일주문 및 정문에서 바로 보이는 범종루, 석가모니 생애를 그림으로 표현한 팔상전과 석가모니불을 모신 중심 법당인 대웅전 등이 있다. 조계사는 매년 음력 4월 8일 석가탄신일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부처님 오신 날 맞이 연등 축제로 유명하.. 2025. 6. 12.
53 (공주) 계룡산 동학사 동학사는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789번지에 소재한 사찰로 계룡산 국립공원 내에 위치하며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비구니 승가 대학으로 150여 명의 비구니 스님들이 수행하는 교육도량이다. 동학사 길을 따라 올라가다 마치막 주차장이라는 푯말이 보이는 주차장에서 하루요금 4000원을 내고 차를 댄 후 계곡 물소리를 들으며 가볍게 산책하며 1.2km 정도 산길을 걷다 보면 동학사 불교문화원이 나오고 거기서 좀더 가면 대웅전 입구가 나와요~ 계룡산 동쪽 자락에 위치한 동학사는 신라 성덕왕 때 회의 화상이 청량사로 창건한 후 고려 태조 도선 국사가 중창한 천년 고찰로 계룡산 서쪽 자락의 갑사와 함께 계룡산을 대표한다. 동학사 내에 있는 삼은각은 고려 유신 길재, 이색, 정몽주를 제향하고.. 2025. 5. 31.
36 (경주) 불국사, 김유신 장군묘, 석굴암 2025년 5월 5일은 어린이 날이자 부처님 오신 날이라 긴 연휴기간이 시작되는데, 그래서 그런지 오늘은 약 5년 전에 경주 불국사와 김유신 장군묘를 찾은 추억이 돋는다. 불국사는 통일 신라 8세기 중반 경덕왕때 김대성이 창건을 시작한 절로 조선 선조 임진왜란때 왜군들이 불을 질러서 목조 건물이 대부분 전소된 후 17~18세기에 걸처 중건이 시작되며 차차 가람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고 한다. 대웅전과 자하문 사이의 뜰에서 동쪽엔 석가탑(불국사 삼층석탑)이 서쪽에 다보탑이 위치해 서로 마주보고 있다. 석가탑(불국사 3층 석탑)은 현재의 부처인 석가여래, 다보탑은 과거의 부처인 다보불이 나란히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대한민국 10원 동전에 새겨져 있는 다보탑은 국보 20호이며, 석가탑은 국보.. 2025. 5.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