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5

61 (경남 고성) 상족암 / 공룡 박물관 상족암 군립공원은 경남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 50-1번지에 소재한 공룡 발자국 화석과 해식동굴이 있는 퇴적암 절벽이 있는 곳이다. 상족암이란 명칭은 수성암 퇴적층이 파도와 바람에 깎여 차곡차곡 층층이 쌓인 절벽이 '밥상 다리'처럼 생겼다는 점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절벽 내부의 해식 동굴 입구는 2곳으로 깎여진 모양이 코끼리 다리를 닮았다고 하며 간조 때에 맞춰 가면 동굴 안쪽까지 들어갈 수 있는데 역광으로 인생샷을 건질 수 있어서 인기있는 포토존이다. 상족암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아무래도 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었다는 점으로 중생대 백악기 약 1억~1억5천만년 시기의 이족 또는 사족 공룡들의 발자국이 2천여 족 이상 넓게 분포되어 세계 3대 공룡 발자국 화석지 중 하나로 인.. 2025. 6. 24.
60 (양평) 용문사 용문사(龍文寺)는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신점리 618번지 용문산 자락에 위치한 사찰로 통일신라 신덕왕 때 승려 대경이 창건한 천년 고찰이다. 용문사는 1907년 의병 본거지로 지목되면서 사찰이 전소되었고 6.25 한국전쟁때 또다시 피해를 입었으나, 신라 의상 대사가 지팡이를 꽂아 자랐거나 마의태자가 심었다는 전설이 있는 천왕목이라는 은행나무가 있다. 천왕목는 그간의 전란 중에도 살아 남아 사찰을 수호해 온 천연기념물 제30호 은행나무로 과학적 관측결과 서기 1007년에 심어진 것으로 밝혀지면서 수령이 1018년 가량되는 국내에서 가장 높고 오래된 고목 중의 하나로 세종때 당상관(정3품)의 직위를 받은 점이 정이품송과 투톱을 이룬다. 용문산 관광지와 연계된 계곡 산책로, 야영.. 2025. 6. 21.
59 (강원 고성) 금강산 화암사 금강산 화암사는 8세기 중반 신라 시대 고승인 진표 율사가 자장보살로부터 정계를 받은 후 백두대간 금강산 남쪽의 신선봉 아래 769년 화엄사 이름으로 창건한 도량으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토성면 신평리 772-2번지에 위치한다. 신선봉은 미시령 고개 북쪽에 위치하며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과 인제군 북면 용대리에 걸쳐 있는 금강산 1만2천봉 중 제1봉인데, 신선봉에 오르기 위해 금강산 화암사에서 출발해서 화암사 숲길과 수바위를 거쳐 올라가는 코스가 일반적이며, 가을철 단풍으로 물든 아름다운 풍경을 보기 위해 등산객들이 많이 찾는 명소이다. 수바위는 금강산 화암사에서 신선봉 정상으로 오르는 길목에 위치하며 화암사(인간의 수행처)에서 수행하던 승려들이 수바위에서 정화를 하고 기도를 한 후 신선.. 2025. 6. 18.
58 (서울 강남) 봉은사 미륵대불 봉은사는 서울 강남구 삼성동 74번지에 위치한 조계종 소속의 유서 깊은 사찰로 고층 빌딩이 밀집한 서울의 강남 도심에 있어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며 외국인 관광객들도 많이 방문한다. 봉은사는 794년 신라 원성왕때 연회국사가 견성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으나 고려와 조선을 거치며 중수 및 중건이 계속되었다. 조선 세조때 크게 중창된 이후로 중종때 보우대사가 주지로 부임해 중흥을 이끌며 임금의 은혜를 받는다는 의미의 봉은사로 불리게 되었다. 봉은사의 특징은 야외에 높이 23미터의 거대한 미륵불이 세워져 있어 봉은사를 상징하며, 그외에 대웅전(석가모니불/아미타불/약사여래 삼존불), 미륵전, 영산전 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도와 참선이 가능한 선원과 법왕루, .. 2025. 6. 14.
반응형